All kind of steel
Welded
SM490B and SM490C Plate Specification Comparison
2013년 3월 20일
SB480 and SB410 Boiler and Pressure Vessel Plate
2013년 3월 21일
Welded
SM490B and SM490C Plate Specification Comparison
2013년 3월 20일
SB480 and SB410 Boiler and Pressure Vessel Plate
2013년 3월 21일

SM490B and SM490YB Specification Comparison
SM490B 와 SM490YB 영어 알파벳 “B” 한글자 차이는?

 

딱 한글자 차이입니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영어 알파벳 딱 한글자 차이입니다.

글자 하나 차이지만 그 격차는 확연합니다.
SM490B 와 SM490YB 가 딱 그렇습니다.

두 가지 강종은 우선 용접구조용강이라는데에서 같습니다.
KS와 JIS에서 “SM”은 steel marine의 영어 첫 글자를 따서 SM이라는

철강재 강종 약자를 만들었고 490이라는
인장강도 (Tensile Strength)를 나타내는 숫자에서도 같습니다.

인장강도는 철강재에서 강도를 시험할 수 있는 철 쪼가리 (시편)을 떼내,
인장 시험기라는 시편을 끊어질 때까지 잡아당기는 기계에 물려

시편이 끊어질 때까지 걸리는(부하)  힘의 단위를 KS 와 JIS 에서는 N/㎟ 으로 하고
SM490B 와 SM490YB 강종의  인장강도를, 490이상으로 정한 것에서도 같습니다.

그 외에도 화학 성분에서도 일정 두께 구간에서 탄소 (C)의 값만 조금 차이가 있지,
다른 철강 원소는 같습니다.

그 뿐 아니라 충격 시험의 규정 조건에서도 같은데
둘 다 충격 시험이라는 철강 Test조건에서 Test 온도를 0℃,

샤르피 충격 흡수 에너지 (Charpy absorption energy)를
SM490B 와 SM490YB,  둘 다 27J (Joule)로 규정한 것도 같습니다.

하지만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는데, 그것은 시작 점입니다.
Start는 참 중요하죠.

첫 단추를 잘 꿰야 한다는 말도 있고, 첫 직장, 첫 인상, 첫 사랑, 첫 술에 배 부르랴 등
첫 이라는 글자가 주는 의미는 남다름입니다.

철강에서도 별 수없이
첫 start는 중요합니다.

첫 변형 점을 중요한 기준점으로 삼는데,
이 말을 철강에서는 항복점 또는 항복강도라고 합니다.

큰 철강재에서 시험을 할만한 크기의 철 쪼가리 (시편)을 떼내,
인장 시험기에 물려 잡아당겨 끊어지도록 점점 힘을 가하다 보면, 당연히 끊어집니다.

아무리 튼튼해 보이는 철강재라도 버티는 힘이 100인데,
200이라는 힘으로 당기면 똑 소리 나게 끊어집니다.

이렇게 철강 시편을 인장시험기에 물려 잡아 당기면,
늘어나려는 최초의 변형이 나타나는 지점이 있고

그 첫 변형점이 생기는 지점에 걸린 힘을 항복강도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KS 와
JIS 에서는 구조용 철강재에 규격 약호에 최소 인장강도 값을 집어넣어 약호를 만들지만

EN 이라는 유럽 규격에서는 항복강도 값을 철강재의 규격 약호에 집어넣어 사용할 정도로
철강재의 첫 변형점을 중요한 철강재의 강도로 삼고 있습니다.

SM490B와 SM490YB 구조용 강종의
가장 큰 차이점이 바로 항복강도입니다.

철강재의 두께가 16 mm 이하인 경우의 KS, JIS 의 규정을 보면
SM490B의 최소 항복점을 325 N/㎟로 규정하고 있지만

SM490YB 의 경우는 최소 항복점을 365 N/㎟ 으로 규정해
SM490YB 강종은 SM490B 강종보다 12.3%나 높습니다.

이렇게 달라지는 강도 차이는 강재의 판매 가격에서도 차이가 나타나며
그 가격 차이를 extra charge 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스틸맥스는 연구소 수준의
깊이 있는 철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Carbon Steel, Special Steel, Stainless, Functional steel,
Ni-Alloy, Cu-Alloy, Al-Alloy, Ti-Alloy, Forging .

Plate, Sections, H-BEAM, Angle, Channel,
Flat, Round Bar, Rail, Pipe & Tube, SMLS,

ASTM, ASME, AISI-AMS, ANSI, API, SAE, AS, CSA
DIN-EN , KS, JIS, DNV, ABS, GL, LR, KR, NK 의

국가 규격, 국제 단체 규격, 국제 협회 규격부터
Mill Maker Standards까지 공급하고 있습니다.

Citius, Altius, Fortius,
더 빠르게, 더 높이, 더 강하게가 요구되는 올림픽처럼

공급이 어려운 철강재 공급에는
진정한 전문 선수를 필요로 합니다.

철강재의 기본 물성치를 바로 확인해 볼 수 있는
스틸맥스(주) 사이트 철강 강종 “500” 바로가기 :  https:/plate

자주 사용하는 대표적인 철강재의 중량과 금액을 자동으로 계산해 주는
철강 중량금액 자동계산기 바로가기 : https:/calc_ironplate

 

 

DSC00078

SM490B and SM490YB Comparison